— 점수가 아닌 태도로 평가받는 삶을 가르치기1. ‘성적표’라는 종이 한 장에 휘둘리는 마음한 학기가 끝날 때쯤이면, 부모의 가슴은 묘하게 떨린다.“이번엔 성적이 어떻게 나왔을까?”“다른 아이들은 얼마나 잘했을까?”그 종이 한 장이 아이의 가치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점수가 ‘아이가 누구인지’를 말해주는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정말 그럴까?시험 점수는 단지 결과의 숫자일 뿐이다.그 안에는 아이의 태도, 과정, 마음의 성장, 시도와 회복이 들어 있지 않다.철학자 에픽테토스는 말했다.“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일어난 일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태도다.”이 문장은 육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아이의 ‘삶의 태도’야말로 진짜 성적표다.그 태도는 시험이 아닌 삶 전체에서 채점된다.2.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좋은 삶의..
1. 프롤로그: 감사는 연습일까, 습관일까?하루를 시작할 때 우리는 보통 “잘 잤어?”, “빨리 일어나야지”, “학교 준비했니?” 같은 말로 가족과 대화를 시작한다.이 말들은 필요하지만, 어쩐지 아침 공기에 조금의 무게를 더하는 경우가 많다.그런데 만약 아침마다 감사의 문장으로 하루를 연다면 어떨까?“오늘도 함께 일어날 수 있어서 고마워.”“네가 곁에 있다는 게 참 든든해.”“아침밥 같이 먹을 수 있어서 좋다.”이 작은 말이 아이와 배우자의 마음을 부드럽게 감싸고, 가족 관계의 분위기를 바꾸는 출발점이 된다.스토아 철학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아침마다 자신에게 이렇게 말했다.“오늘 나는 까다롭고, 배은망덕하고, 거칠고, 질투하는 이들을 만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나와 같은 인간이다.”그는 하루를 준비..
― 스토아 철학이 알려주는 경청의 지혜 ―1. 서론 ― ‘엄마들 모임’이라는 독특한 공간아이를 키우다 보면 자연스럽게 ‘엄마들 모임’이라는 자리에 초대된다.같은 반 학부모 모임, 동네 엄마들의 모임, 혹은 육아 커뮤니티에서의 만남.이 모임은 정보 교환의 장이 되기도 하고, 외로움 속에서 위로를 찾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그러나 이 모임에는 보이지 않는 긴장감이 숨어 있다.누구 아이가 먼저 글자를 읽는다.누구 집은 영어 학원을 다닌다.누구 아이는 키가 크고 발달이 빠르다.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도 모르게 비교의 덫에 빠진다.그리고 마음속엔 불안이 고개를 든다.“우리 아이는 왜 저렇게 못 하지?”“나는 왜 저런 걸 준비 못 했을까?”이 순간 모임은 위로가 아니라 부담이 된다.그렇다면 우리는 이 자리에서 어떻게..
비난 대신 질문으로 시작하는 철학적 대화법1. 서론 ― 왜 우리는 같은 집에서 다른 길을 걷는가부부는 가장 가까운 사이면서도 가장 많은 갈등을 겪는다.낯선 사람에게는 미소를 지으면서도, 정작 가장 사랑한다고 말했던 배우자에게는 쉽게 짜증을 낸다.왜 그럴까?가까운 관계일수록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당연히 내 마음을 알 거야.’, ‘이건 말하지 않아도 알아야지.’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하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 실망은 곧 분노와 비난으로 이어진다.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말했다.“우리에게 고통을 주는 것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그 사건에 대한 해석이다.”배우자의 말과 행동은 ‘사건’이다. 그러나 그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이 ‘갈등’이 될 수도 있고 ‘성장’이 될 수도 있다.오늘 이 글은, 그 해석의 ..
1. 아이의 자존감은 어디서 오는가?많은 부모는 아이의 자존감을 키워주고 싶어 합니다.그래서 칭찬을 아끼지 않고, 성취의 순간을 크게 축하합니다.하지만 정작 자존감은 결과의 칭찬에서만 오는 것이 아닙니다.자존감의 뿌리는 ‘나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경험에서 자랍니다.아이는 누군가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존재가 아니라,자신의 의지와 판단이 존중받는 경험을 통해“나는 존중받는 사람”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됩니다.즉, 자존감은 부모의 사랑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자율성의 경험 위에서 단단해집니다.2. 통제하려는 마음, 사랑일까 욕심일까부모는 아이가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끊임없이 간섭합니다.“이 옷 입어.”“지금 당장 숙제해.”“이건 하지 마.”물론 아이를 보호하고 가르치는 일은 필요합니다.하지만 모든 선..
👉 시험, 성적, 성취보다 과정 속 태도와 습관을 중시하는 시선 1. 성적표가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아이를 키우면서 부모가 가장 흔히 빠지는 함정은 결과 중심의 시선입니다.시험 점수, 상장, 대회 성적, 남들과 비교 가능한 ‘숫자’는 눈에 잘 보이고 즉각적인 만족감을 줍니다. 그래서 부모는 아이의 성장을 그 결과물로만 판단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하지만 성적표는 아이의 전체를 말해주지 않습니다. 아이가 공부하는 태도, 실패를 대하는 자세, 꾸준히 쌓아온 습관, 과정 속에서 배우는 내면의 힘은 숫자만으로 드러나지 않습니다.스토아 철학은 결과는 우리의 통제 영역 밖에 있고, 과정 속 태도만이 내 손 안에 있다고 말합니다. 아이의 성장을 바라볼 때도 이 철학적 시선이 필요합니다. 2.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실수’를 대하는 단단하고 다정한 태도🧩 “또 엎질렀어요. 수십 번 말했는데도요.”엄마가 반복해서 알려줬지만물컵을 또 쏟고,형을 또 때리고,숙제를 또 안 하고,거짓말을 또 합니다.이럴 때 우리는 말하죠.“왜 자꾸 똑같은 실수를 해?”“몇 번을 말해야 알아듣니?”하지만 스토아 철학은 이렇게 되묻습니다.“실수를 통해 배우지 못하는가?그 순간에도 너는 가르칠 수 있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실수’의 본질실수는 인간의 본질이다.인간은 불완전하고, 성장하는 존재이다.따라서 실수는 실패가 아니라 ‘학습의 과정’이다.실수는 사건이다. 반응은 선택이다.아이의 실수가 내 감정을 자극할 수 있다.하지만 내 반응은 아이의 실수보다 더 큰 교육이 된다.실수는 기회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엄마철학
- 성찰
- 하루철학
- 기다림
- 철학적훈육
- 엄마
- 아이
- 세네카
- 철학
- 태도
- 에픽테토스
- 부모의말
- 부모
- 아이의 속도
- 워킹맘
- 아침루틴
- 스토아
- 말습관
- 육아철학
- 철학육아
- 감정
- 불안
- 5분루틴
- 아이의 언어
- 성장
- 질문
- 비교
- 스토아철학
- 육아
- 철학훈련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