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것: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눈
          
    
    
  1. 부모의 눈에 비친 ‘틀림’이라는 프레임아이를 키우다 보면 이런 순간들이 있습니다.또래는 모두 줄을 곧게 서는데, 우리 아이는 줄 옆에 삐뚤게 섭니다.다른 아이는 한 번에 알아듣는 걸, 우리 아이는 열 번을 설명해야 이해합니다.숙제를 꼼꼼히 하는 대신, 그림 그리기나 상상에만 몰두합니다.이럴 때 부모의 마음속에는 쉽게 “왜 우리 아이는 다르게 행동할까?”라는 불안이 피어납니다.그리고 그 불안은 곧 ‘다름 = 틀림’이라는 왜곡된 결론으로 이어집니다.하지만 철학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정말 틀린 걸까? 아니면 단지 다른 걸까?”2. 다름과 틀림의 차이를 구분하기‘틀렸다’는 말은 기준이 하나라는 전제를 담고 있습니다.정답이 하나뿐일 때, 그 기준에 맞지 않으면 틀린 게 됩니다.하지만 ‘다르다’는 말은..
          6. 👩👧👦 철학적 육아 & 교육
          
          2025. 9. 7. 20:1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태도
 - 워킹맘
 - 아이의 언어
 - 말습관
 - 육아
 - 성찰
 - 육아철학
 - 부모의말
 - 불안
 - 기다림
 - 엄마
 - 감정
 - 비교
 - 하루철학
 - 철학훈련
 - 부모
 - 에픽테토스
 - 아이의 속도
 - 아이
 - 세네카
 - 아침루틴
 - 스토아
 - 성장
 - 철학
 - 엄마철학
 - 철학적훈육
 - 스토아철학
 - 질문
 - 철학육아
 - 5분루틴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5 | 6 | |
| 7 | 8 | 9 | 10 | 11 | 12 | 13 |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
    
    
    
  